유교식 차례 지내기
까치 설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행복하세요,
코리즌 어김없이 설날전에도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차례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웬지 저는 차례나, 제사는 유교식으로 해야 제대로 지내는 것 같더라구요.
요즘은 종교식으로 하는 분이 많이 계셔서 이런 포스팅이 맞을런지는 모르겠지만 유교,
아니면 불교식으로 지내시는 분이 보신다면 다소나마 도움이 될까 하고 올립니다.
1열 |
시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습니다. |
2열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
3열 |
생선·두부·고기탕 등의 탕류 |
4열 |
좌포우혜 :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
5열 |
조율이시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놓음 또는 |
차례 상 준비 시 유의점 |
-·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것은 쓰지 않습니다.
- 고춧가루와 마늘 양념을 하지 않습니다.
- · 붉은 팥은 안 쓰고 흰 고물로 씁니다.
차례 지내는 순서 |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우고. 집사( 큰며느리, 둘째아들, 손자)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사기(퇴주잔)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신주를 모실 경우,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절)을 먼저 하고 강신(조상을 부름)을 합니다.
묘지에서는 모사기 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하다.
2. 참신 : 기제사(조상님 돌아 가신날)와 같습니다. 일동이 모두 두 번 절을하고요.
3. 헌주 : 술을 제주가 정성스레 올립니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입니다.
4. 삽시정저 : 떡국(설날) 혹은 송편(추석)에 수저, 시접(반찬)에 젓가락을 정돈합니다.
5. 시립 : 모두 잠시 동안 공손히 서 있습니다.
6. 사신 : 수저를 거두고요. 뚜껑이 있다면 덮습니다. 모두 2번 절합니다.
지방과 축문을 태우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십니다.
7. 철상, 음복 : 기제사와 같습니다. 상을 치우고 음식을 나누어 즐겁게 먹습니다.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도물이 안나와요,수도동파 (40) | 2012.02.03 |
---|---|
이런 황당한 경우가? (48) | 2012.02.01 |
너 손들고 있어~ (29) | 2012.01.29 |
설 명절 잘 지내시와요~용 (29) | 2012.01.21 |
강화도에는 마니산이 없다. (63) | 2012.01.17 |
야옹이가 인사 드려요. (25) | 2012.01.13 |
아내가 일 저질렀어요. (36) | 2012.01.0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