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리즌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화장실에 달려 있는 백열구(60W)를 떼어내고 아크리치 LED전등을 자작하여 달면 얼마나
전기가 절감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앞으로 제가 자작하는 것은 거의 80%가 재활용품을 사용 할 것입니다.
그린에너지, 자연에너지, 재생에너지를 생각하며 모은 자재가 제법 되나 자작하다보니 시간이
많이 걸려 자주 올리지는 못합니다.
준비물 : 아크리치 LED 3개 ->3000원 X 3 = 9000원(신품 개당 약8000원)
컴퓨터 팬 -> 재활용
방열판 -> 재활용
저항 2K옴 3개 -> 재활용
센서등기구 -> 재활용
소형 트랜스 -> 재활용
브리지 다이오드 1개, 콘덴서 1개, 서멀구리스 약간, 전선 약간
자작하는 과정은 사진을 못 찍어 만드는 부품과 만들어진 사진만을 보여 드립니다.
이것이 220V를 양쪽에 연결하면 불이 들어오는 4w 아크리치 led 입니다.
이 방열판에 아크리치 뒷면에 서멀구리스(열전도를 도와주는 재료)를 얇게 바르고 에폭시로붙여 줍니다. 그리고 저항과 전선으로 아크리치를 납땜하여 줍니다.
그럼 요렇게 됩니다. 그리고 밑에는 컴퓨터 소형팬을 부착하여 주었습니다. 에~구 깨끗하지가 않네요. 뭐 모양 보려고 하는 것이 아니니 그냥 통과~
센서등이 있어 내용물은 다 떼어낸 케이스 입니다. 여기에 위에서 만든 것을 부착해 줍니다.
이렇게 되었습니다. 그럼 나머지 부붐은 무엇인가를 설명 합니다.
컴퓨터 팬은 DC(직류)12V로 구동하기 때문에 소형트랜스를 써서 220v ->11V로 다운 시키고 다이오드를 써서 직류로 만든 다음 콘덴서를 써서 평활(건전지에서 나오는 전기와 비슷하게 만드는 과정)을 시켜서 팬을 돌려주게 됩니다. 아크리치는 열이 많이 나기 때문에 팬을 돌려서 열을 낮추는 것입니다.
백열등 보다 조금 어두운 감은 있지만 우리 4식구 모두 불편함을 모르고 현재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략 밝기가 짐작 되시나요?오래된 집이라 깨끗하지가 못하죠? 흉보지 마세요~헤헤
그럼 전기가 얼마나 절약되고 장점은 무엇인가 알아보죠.
아크리치 4W X 3개 = 12W
컴퓨터팬 1.32W (12V x 0.11A)
그 외 소형트랜스, 저항에서 소비되는 전류, 팬 기동전류를 합쳐도 15W정도 입니다.
60 W - 15W = 45W의 전력이 절약되는 셈입니다.
이런 전구가 20W이니 2개를 더 켤수 있는 전기를 아낀다는 얘기입니다.
또한 삼파장전구는 자주 갈아 주어야 하지만 LED는 대략 65,000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고 업체에서는 말을 하니 약2700일(7년 145일)을 전구 교체 없이 사용을 한다는 말이지요.
삼파장전구, 백열등은 스위치를 자주 ON, OFF 하면 수명은 그 만큼 짧아지나 이것은 그런 염려가 없다는 것도 장점 이지요.
LED의 최대 장점은 펄스점등이 되어 전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밝기는 같으면서 전력 소모가 적은 회로를 시험 중에 있습니다.
LED등은 전기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지만 전구를 자주 교체해줄 필요가 없어 자연보호는 저절로 되니 일석2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가정용 전기요금은 누진세가 적용된다는 사실을 잘 아실 것입니다. 이렇게 자작의 즐거움도 누리면서 바꿀 수 있는 전등을 교체 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누진세의 압박에서 벗어나고 싶습니다. 아직은 피부로 느낄 만큼 절약은 못 하지만 나름 절약한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http://deco.daum-img.net/contents/emoticon/per_14.gif)
'자연과 함께 > 자작의즐거움(DI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드 가스스토브 펠릿스토브 자작하기 (37) | 2012.12.14 |
---|---|
열전소자로 재미있는 실험하기 2편 (43) | 2012.11.05 |
열전소자로 재미있는 실험하기 (38) | 2012.10.27 |
전구형 LED전등 자작하여 현관등 사용해보자. (45) | 2012.10.15 |
1.5V 폐건전지로 LED를 점등해 보자 (36) | 2012.10.10 |
성공하면 대박인 베디니 모터 (66) | 2011.12.2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