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코리즌 인사 드립니다.
제 글을 읽으신 분 중에 잘못 알고 계신
분이 계신 것 같아 다시 짚어 보고 가겠습니다.
누전으로 인한 화재예방은 세대 분전함 내부에 달린 누전차단기의 빨간 버튼을 눌렀을 때
전기가 차단되어야 하는 것이지, 접지 형 콘센트를 사용한다고 예방되는 것이 아닙니다.
접지 형 콘센트는 미세한 누전 시 인체에 전기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입니다.
우리 집에 누전이 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나요? |
답은 네~ 입니다만 몸이 좀 고생을 하셔야 합니다.
이 그림은 누전체크기(일명 메가)입니다.
요놈이 있으면 어떠한 가전제품도, 집안의 내부 전선의 절연도 잡아낼 수가 있습니다.
에이~ 이 사람 농담하시나~
일반 가정에 저런 게 어디 있으며 사용법도 모르는데요.
이 체크기를 설명 하려는 것이 아니고 이런 게 있다 라고 만 알고 계십시오.
그럼 체크기 없이 누전이 되는지 알아봅시다. |
이런 상식을 알고 있으면 밤에 갑자기 누전이 발생을 하면 업자를 부를 수도 없고 난감한 처지에 유용
하게 이용을 할 수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아파트 단지가 아닌 일반 주택의 경우, 아파트는 관리실에 누전체크 요청.
세대 분전함 입니다. 일반적으로 왼쪽에 빨간 버튼이 붙어있는 누전차단기 그리고 오른쪽에 전등
라인, 전열라인이 배선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열라인이 더 붙어 있을 수도 있고, 에어콘 라인이 별도로 붙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누전이 심해 누전차단기가 OFF되면
1. 전등라인, 전열라인 차단기 모두 OFF -> 누전차단기 ON.
2. 누전차단기 ON 상태 -> 전등라인 차단기 ON. 누전차단기 차단이 안 되면 전등라인 이상 무.
3. 누전차단기 ON 상태 -> 전열라인 차단기 ON. 누전차단기 OFF 되면 전열라인 심한 누전.
4. 혹 전등라인이 누전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냉장고 음식이 상할 것이 염려되니 어떤 것이 누전 되는지 찾아봅시다.
1. 누전차단기 ON -> 전등라인 차단기 ON, 전열라인 차단기 OFF.
2. 의심 가는 가전제품 하나만 콘센트에서 분리 후 전열라인 차단기 ON.
분리한 가전제품은 꼽지 마시고 누전차단기가 OFF되지 않을 때까지 가전제품을 하나씩 콘센트에
서 분리 후 누전차단기 ON.
3. 누전차단기가 올라가는 시점의 마지막 분리한 가전제품이 심한 누전 상태.
누전 가전제품 A/S 요청.
4. 누전이 되는 놈만을 꼽지 말고 다른 제품 다시 꼽으시고 전기사용.
5. 만일 가전제품 모두 분리를 했는데도 누전차단기가 ON 안될 때는 전기배관내부,
또는 콘센트 자체를 검사해야 하므로 어쩔 수 없이 업자를 불러야 합니다.
'자연과 함께 > 전기를 알아보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한 수도 동파방지 방법 알아보기 (51) | 2012.01.26 |
---|---|
전기먹는 괴물 전기난로, 전기온풍기 (31) | 2012.01.14 |
가정에서는 센서등 사용을 자제하자. (40) | 2012.01.12 |
누전으로 인한 전기충격을 예방하자-3 (38) | 2012.01.09 |
누전차단기를 점검하자-2 (32) | 2012.01.06 |
전기야 놀자-1 (32) | 2012.01.03 |
전기를 알면 돈이 절약된다. (16) | 2012.01.01 |
최근댓글